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전체 메뉴
전체 메뉴
역사
태고사
상고사
고대사
고려사
조선사
근현대사
독립사
북한역사
세계사
정치
사회
문화
종교
국제
평론
비평
시론
정보
역사
태고사
상고사
고대사
고려사
조선사
근현대사
독립사
북한역사
세계사
정치
사회
문화
종교
국제
평론
비평
시론
정보
전체 기사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역사
정치
사회
문화
종교
국제
평론
정보
삼태극 소개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역사
고대사
고대사
다음
이전
고대사
민족사학 집대성한 윤내현 교수 별세
민족사학자, 윤내현 전 교수 별세평생을 민족 고대사 복원에 바쳐 이덕일 교수 추모, 고인 명복 빌어 민족사학에 식민사관 청산 길 제시 윤내현 전 단국대학 교수가 서기 2025.06.29. 향년 86세(1939~2025)를 끝으로 돌아가셨다. 고인은 파킨슨병으로
편집부
2025.06.30 22:33
고대사
근초고왕 열도 정복과 <일본서기> 조작
일본서기는 백제가 야마토 왜의 속국인 것으로 조작 근초고왕의 열도 정복, 신공왕후 행위로 둔갑한 듯 신공왕후가 신라 정벌하고 임나 7국 정복했다고 날조 이를 삼국사기 기록과 맞추기 위해 120년 더하여 해석
편집부
2025.06.14 20:18
고대사
야마토 왜왕은 일본열도의 백제 총독
중국 에 나오는 왜왕 무는 백제 무령왕인 사마무령왕, ‘사마’는 일본어 ‘시마’인 섬, 각라도서 태어나 일왕의 만세일계 위해 왜왕 무를 유라꾸 천황으로 둔갑 왜왕 무와 무령왕은 출생과 몰년, 그리고 휘호가 동일
편집부
2025.05.26 20:36
고대사
“일본은 부모를 버린 불효자식”
글: 이헌동(김해근대역사위원회 위원장) 일제 19세기 임나일본부설에 따른 정한론 만들어 광개토태왕비 신묘년조 조작하여 조선침략 정당화 비문에 나오는 왜는 야마토왜 아닌 큐슈지역 왜 이형우, 조선총독부의 야마토왜 중시사관 추종 고고학으로 본 광개토태왕비문의 왜 1871년 일제가 천황의 비호 아래 군사뿐 아니라 학
편집부
2025.05.09 20:59
고대사
또 하나의 한국사, 북제·북연·북위
5호16국 중국 북방왕조는 고구려 고씨 천하북방왕조 시조 탄생 설화 핵심, 고구려와 닮아 고구려 고씨, 동이족 신농씨 고양씨에 닿아 우리는 흔히 수나라, 당나라가 들어서기 전 황하 북쪽 대륙의 역사를 5호 16국 시대라고 한다. 통상 수나라가 중원대륙을 통일하기 전 북위 시대(서기 386~534)까지 포함한다. 중원의 한
오종홍 기자
2025.05.03 22:36
고대사
일본의 통치체제 갖춘 ‘숭신천황’은 가야 후손
가야 철기문화 일본 구주를 거쳐 야마토 열도로백제가 멸망할 때까지 일본은 정상 국가가 아냐 본토 삼국의 식민지 열도, 백제 이주 뒤 독립국 통치체제를 갖춘 일본 최초 왕은 누구일까? “제국(弟國)으로 도읍을 옮김 (계체 12년) 518년 3월 9일 十二年 春三月丙辰朔甲子, 遷都弟國, 번역주 제국(弟國;오토쿠니) 山城國 乙
편집부
2025.03.30 21:09
고대사
일본고대사, 가야 백제 없으면 쓸 수 없어
글: 이헌동(김해근대역사위원회 위원장) 고대 일본은 한 땅의 유물, 언어, 문화로 만들어져 한국 근세사에 일본 역할 부정할 수 없듯이 고대 일본사도 한 땅의 역할 없이는 설명 불가 일본서기, 가야, 백제가 정복한 사실 은폐 거꾸로 야마토 왜가 한 땅 4국 지배했다고 날조 는 위서(僞書)인가 아닌가 를 읽으면 어떤 것
이헌동
2025.03.19 23:00
고대사
일본열도 초기역사 가야인들이 만들어
글: 이헌동(김해근대역사위원회 위원장)광개토태왕비, 일본서기 열도 가야소국 역사 기록 이토시마지역에 진출한 가야인들 조선식 산성 축조 광개토태왕비의 임나가라는 대마도에 있는 고유 지명 큐슈 이토시마 지역의 가야 소국 일본 열도에 진출한 가야사람들은 이르는 곳마다 마을과 고을을 이루고 살았다. 가야 사람들이 만든 소국들 가
이헌동
2025.02.19 00:14
고대사
임나는 일본사, 가야는 한국사
글: 이헌동(김해근대역사위원회 위원장) 일제식민사관 골수분자 이마니시류, 일본서기 임나를 한반도 남부 가야라고 우겨 임나와 가야는 시작과 끝이 전혀 다른 역사 임나와 가야는 같은 나라인가 다른 나라인가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에서 식민사관으로 우리나라 고대사를 조작하고 왜
이헌동
2025.02.06 21:13
고대사
4국 시대 언어 동일, 사투리 차이
글: 이헌동(김해근대역사위원회 위원장) 문은 옛 가야말로 도, 일본도 문을 도라고 해 고구려, 신라 한자 어순은 주어 목적어 술어 가야 비석에 한자 어순도 주어 목적어 술어 일본어 조상은 고구려 야요이 인이 가져온 것 가야 사람들의 말과 글 가야 사람들은 고구려, 백제, 신라사람들과 접촉을 하면서 언어 분야에서도 공통성
이헌동
2025.01.31 22:59
고대사
가야인들 중국보다 우수한 문자 생활
글:이헌동(김해근대역사위원회 위원장) 김해 다호리유적서 중국보다 우수한 붓과 칼 나와 식민사관, 우리 우수한 문화 유령 취급 중국 일본 높여 최고 절정 기술 집약된 다뉴세문경 무시, 일본 것 소개 철 제조기술도 없는 왜, 우리나라 휘저었다고 날조 가야지역의 발달된 제철 제강 기술 가야에서의 제철업 발전은 그대로 국력의
이헌동
2025.01.24 01:37
고대사
고구려인들의 일본 열도 개척
글: 이헌동(김해근대역사위원회 위원장) 일본서기에 고구려의 일본 열도 개척 암시기사 고구려 마지막 보장 태왕 아들 약광, 일본 이주 세공, 직물, 철제 기술, 밭농사 능한 사람과 함께 기비지역과 관동지방 정착, 무사 집단으로 변모 현재 고구려 후손, 고카 케이코 고구려 홍보 매진 고구려인들의 일본 열도 진출 (효덕
이헌동
2025.01.12 15:02
고대사
최재석 교수, 식민사관 타도에 평생 바쳐
글: 이헌동(김해근대역사위원회 위원장) 임나일본부설, 야마토왜가 경남 식민지배 뜻 가야가 임나라는 것이 임나일본부설 핵심 차지 가야는 42년 건국, 임나는 서기전 33년에 등장 삼국사기 초기 기록을 가짜로 보는 식민사학계 일본은 교과서에서 여전히 임나=가야로 가르쳐 '임나'는 '가야'가 아니다 가야
오종홍
2024.12.07 05:27
고대사
식민사학계, 교수와 학생은 교주와 신도
글: 이헌동 (김해근대역사위원회 위원장) 이희진의 책, ‘식민사학이 지배하는 한국 고대사’ 해방 후 식민사학자들, 소신껏 역사 연구 안 해 이병도, 신석호, 문병창 모두 같은 친일 부역자 이병도, 신석호는 친일 사학 후학에 계속 가르쳐 문정창, 친일 행위 반성, 바른 역사 찾기에 매진 구조적인 비리로 식민사학 청산
이헌동
2024.10.04 07:44
고대사
대륙에서 북위와 전쟁하여 이긴 백제
글: 신종근(역사연구가, 의사) 삼국사기, 남제서, 자치통감, 백제가 북위와 싸워서 이겼다고 기록 요서 점거하여 요서, 진평군 설치 운영 - 백제는 북위와 전쟁을 치렀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동성왕 10년 조(서기 488년)에는 일반적인 역사적 상식으로는 이해가 안 되는 기록이 있다. 그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신종근
2024.09.25 20:55
고대사
오우치가문족보, ‘백제는 황제국’
글:유종성(지방분권포럼대표) 백제 건국과 진국체제 이야기 2 백제 마한 복속, 처음엔 백제가 마한 속국 서기 9년 백제 온조왕 마한 급습 복속 한, 각읍에 천군 세워 천신에게 제사 지내 백제, 서기 3세기경 이미 중앙집권체제 강화 고고 유물과 백제 본기 기록에 황제국 완연
유종성
2024.07.26 22:00
고대사
백제건국과 진국체제 이야기 1
글: 유종성(지방분권포럼 대표) 백제는 진국체제 하에서 새로 설립된 신생국가 서기 9년 백제가 마한을 합병 오우치가문의 족보에 명확하게 나와있어 양직공도에서 백제의 요서, 산동경영이 명확해져
유종성
2024.07.23 00:12
고대사
야마토 왜의 상징, 전방후원분도 부풀린 것
글: 김상윤(광주마당 고문) 열도 기비지역 거대 전방후원분 후대에 만들어 전방후원분 비롯 고분떼 북규슈에서 기비로 전파 묘 규모 확대하고 주변에 연못 이중, 삼중 축조 야마토 지방에 백제궁, 백제천, 묘에 조선식 유물 주류 강단사학계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 추종 , 무슨 문제가 있을까요?(17) 황국사관에 입각한 일본
김상윤
2024.03.25 01:48
1
|
2
|
3
|
4
|
5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