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전체 메뉴
전체 메뉴
역사
태고사
상고사
고대사
고려사
조선사
근대사
현대사
독립투쟁사
북한역사
문화사
한국의강역
정치
사회
문화
경제
종교
국제
평론
비평
시론
정보
역사
태고사
상고사
고대사
고려사
조선사
근대사
현대사
독립투쟁사
북한역사
문화사
한국의강역
정치
사회
문화
경제
종교
국제
평론
비평
시론
정보
전체 기사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역사
정치
사회
문화
경제
종교
국제
평론
정보
삼태극 소개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역사
고려사
고려사
다음
이전
고려사
왕건의 선대 출자(出自)와 삼한통일(三韓統一)에 관한 이야기
글: 유종성 지방분권포럼 대표 대진의 또다른 국호는 ‘고려’ 왕건의 선대 출자는 ‘대진국(大振國)’ 대신라(大新羅) 지방민의 염원이 고려의 북진으로 달성
유종성
2025.04.03 16:15
고려사
마산, 몽골과 왜구의 발자국
글: 신종근(역사저술가, 의사)고려원종 시기 일본정벌을 위한 군사기지 설치 몽골 제국에 끝까지 항전한 삼별초의 영향권 안 고려말에는 왜구의 노략질로 피해 극심 임진왜란때는 합포해전으로 육지전 패배 설욕 합포(마산)와 관련된 이야기들 삼별초(三別抄)의 항쟁과 합포 『고려사』의 기록에 의하면, 합포에 삼별초가 나타나기 시작한
신종근 객원기자
2025.03.26 00:40
고려사
‘왕요•왕식렴이 일으킨 내란’ 이야기
글: 유종성(지방분권포럼 대표) 왕요형제는 왕식렴과 함께 정변모의 왕규가 시해하려한 대상은 사실상 왕요 혜종정권의 입장에서는 ‘서적찬위(西賊簒位)’ 창업군주로써 강력한 카리스마를 지녔던 태조왕건이 붕어(崩御)하고 혜종이 즉위하면서, 지방호족을 외가로 둔 황자들이 황위를 엿보게 된다. 그중에 대표적인 도전자들이
유종성
2025.03.13 00:27
고려사
북한, ‘고려청자는 도자기 예술의 극치’
고려청자는 한겨레의 정서를 종합적으로 보여줘 곡선으로 이루어진 고려청자, 유연성과 활력 넘쳐 도자기 예술의 극치, 인류문화의 보물 창고 북한은 서기 2024. 11. 13. 양련희라는 개인 필명을 통해서 고려청자에 대하여 종합적인 평가를 내놨다. 모양과 색깔, 장식무늬 등 표면적인 모양과 더불어 제조 기술에서도 특별
코리아 히스토리 타임스
2024.11.17 23:28
고려사
고려전기 만주경영 이야기
글: 유종성(지방분권포럼 대표) 고려는 고구려-발해 고토를 자국의 땅으로 인식 강동6주는 요하중류 이동에 위치 고려전기 실질적으로 해동천하 구축
유종성
2024.11.15 12:36
고려사
고려 전기사회의 특징
고려는 문벌귀족사회 아냐 사족(士族), 이족(吏族) 사회에 가까워 신라의 진골 귀족 사회 극복한 모델 고려 황족도 정치 활동 찾아보기 힘들어 일반적으로 고려 전기를 문벌귀족사회로 규정한다. 하지만 신라의 진골 귀족 사회를 극복하고 창건된 고려는 오히려 조선보다 덜 귀족적이었다. 고려의 혈통 귀족은 황족밖에 없었다
유종성
2024.06.05 23:49
고려사
고려 황실의 칭호와 존칭 이야기
글: 유종성(지방분권포럼 대표 ) 고려는 황제의 칭호는 자주국의 지표 조선시대 사대주의 및 식민사학이 연구막아 올바른 고려황실 용어연구를 통해 자주성 회복 필요
유종성
2024.05.08 01:03
고려사
고려 천리장성은 천리관성
글: 전우성(역사저술가, 관세사) 고려 천리장성은 각 지역에 축성하고 연결한 관성 천리관성은 당시 압록강, 압록강은 하북성 호타하 산서성 대동시 인근에 부여, 그 서쪽에 선비족 위치 -기고문 27- [고려 천리장성 위치 확인] - 고려 천리장성은 장성이 아니라 관성 내지는 관방이다. - 고려 천리장성의 위치는 한반도 서
전우성
2024.03.17 22:52
고려사
고려전기 북방강역 이야기
글: 지방분권포럼 대표 유종성만주를 경영한 고려, 여진인들 통제해 고려 태조 시 이미 압록강 넘어 진출 후에 거란과의 국경갈등 생겨 윤관이 개척한 정주는 길림성 안도현 송강진 거란의 2차 침입시 기록 소실돼
유종성
2024.03.11 20:56
고려사
‘서희 강동 6주 아닌 8성은 호타하 인근’
글: 전우성(역사저술가, 관세사) 고려 서희가 찾은 강동 6주는 ‘8성’이 맞아 위치는 하북성과 산동성 경계 지역으로 나와 흑수말갈은 산서성 대동시 천진현에 존재해 -기고문 26- [고려 서희 강동 6주 실체 확인] - 서희의 강동6주는 “서희 강동 6주”가 아니라 “서희 8성”이다. - 그 위치는 한반도 압록강 인
전우성
2024.02.24 21:19
고려사
윤관 동북 9성, 고려판도 가늠하는 열쇠
글: 전우성(역사저술가, 관세사) 식민사학자들, 고려 동북9성 함경도로 날조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는 두만강 넘어 공험진 명나라 초기에도, 공험진은 조선의 국경선으로 -기고문 28- [고려 윤관 동북 9성 실체 확인] - 고려 윤관 동북 9성은 단순한 정벌 사실이 아니다. - 고려 윤관 동북 9성은 고려의 동북
전우성
2024.02.07 23:23
고려사
‘한국방송, 고려거란전쟁 역사왜곡 중단하라’
(사)한배달 등 역사단체 한국방송에 역사왜곡 중단 촉구 고려거란전쟁 사극 방영 앞두고 고려국경 식민사관 논란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고려 동계 두만강 위 6백리 공험진 (사)한배달, 역사의병대 등 역사시민사회단체는 2023.11.09. 서울 여의도 한국방송 사옥 정문에서 집회를 열고 한국방송(kbs)은 고려 국경선
오종홍 기자
2023.11.10 21:22
고려사
중국 한국 사료, 고려는 만주까지 차지
글: 김상윤(광주마당 고문) 이용중, ‘전라도천년사’ 고려영토 날조에 사료로 철퇴 현 압록강-원산만 고려 북계는 일제식민사학의 결과물 현행 학교 국사교과서도 압록강-원산만으로 그려놓아 ‘전라도천년사’ 제7권 281쪽도 압록강-원산만 유지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요사’, ‘선화봉사 고려도경’ ‘명일통지’ 모두 고
김상윤
2023.08.26 13:13
고려사
고려 후손 아골타의 금나라 발상지 삼강평원
글: 허성관(전 행정자치부 장관) 북만주 하얼빈 아성, 독립투사 부인들의 대일항전기지 대금국 옛 성터에 천제단이 있었다는 이야기만 전해 북만주 삼강평원은 12세기 요와 금이 바뀌는 격동지 금 태조 아골타, 요나라 황제가 춤추라고 했으나 거절 의란현 박물관, 금 포로된 북송 흠종, 휘종 영정 전시 의란현 박물관 건너에 소
허성관
2023.08.24 02:02
고려사
송, 금나라 쇠하자, 고려 흥기 주창한 진화
글: 공관(북동중아시아연대 중앙위 의장) 고려의 선각자 진화, 시를 지어 고려 부흥 주장 그 후 1백 년 뒤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일어나 칭제건원과 북방 진출, 금 정벌 후 고토회복 외쳐 단재 신채호, 묘청 봉기 민족사 1천래 대 사건 평가 혼몽한 금나라 정복했다면 몽골제국 대체 했을 것 지금 세력 변동기, 윤 정권의
공관
2023.04.27 23:28
고려사
쓰다소키치, 어떻게 고려국경선 날조했나
윤한택 인하대 고조선연구소 연구교수,‘고려강역은 총독부 식민사학자 쓰다소키치가 만들었다’‘쓰다소키치는 중화사대주의 조선정권과 유학자들이 만든 것 끌어왔다’‘고려국경은 요령성 요양까지 육박했다’
오종홍 기자
2018.07.24 23:52
고려사
고려말 우리국토, 만주까지였다
고려 말, 고려와 명나라와의 국경은 '요동' 철령위화도 회군 세력에 의해 와 조작광복 후, 일제 조선총독부 식민사학자 왜곡된 주장을 답습하여'강원도 철령위'로 고착
오종홍 기자
2018.04.21 23:52
고려사
인하대 고조선연구소, 식민사학계에 반격 개시하다
기사수정: 2018.04.02. 01:07 한국고대사학회와 같은 강단주류사학의 역사학은일제치하 쯔다소키치가 만든 類에 터잡고 있다고려와 명나라의 국경분쟁 씨앗, ‘철령위’는 만주 봉집현이었다고수전쟁의 절정, 살수대첩 살수는 만주 요동 혼하다고려시대 압록강은 지금의 요령성 요하다
오종홍 기자
2018.03.30 22:30
1
|
2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