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전집현(자유기고가)

 

베트남 현대사 사회주의 자주세력과 외세의존세력 양분

프랑스, 일본 식민지 겪은 뒤 다시 돌아온 프랑스 격퇴

제네바 협정으로 남북으로 자본주의 사회주의로 분단돼

베트남 전쟁 전 남 베트남은 베트콩과 내전 단계 머물러

미국의 통킹만 사건으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으로 확전

미국의 힘만 믿고 남베트남 부정부패와 혼란으로 적화돼

 

▲ 베트남 전쟁에서 남베트남은 중국의 장개석 국민당 정권의 부패한 모습을 닮아 있었다(편집인 주)
▲ 베트남 전쟁에서 남베트남은 중국의 장개석 국민당 정권의 부패한 모습을 닮아 있었다(편집인 주)

 

<베트남의 독립전쟁, 분단의 비극, 하나로 합쳐지면서 공산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베트남 공산화 이후 그간 남베트남에서 좌익으로 반정부, 반체제 운동을 벌이던 교수, 종교인, 학생, 민주인사들도 예외 없이 모조리 처형되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반정부 활동을 하던 인간들은 사회주의 사회에서도 똑같은 짓을 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란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프랑스와의 독립전쟁(1946~1954)

베트남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가 지배하던 시기에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다가,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인 기간에는 일본의 식민지가 되기도 했다.

제2차대전이 끝나자 다시 프랑스가 돌아왔다. 프랑스는 바오 다이를 내세워 사이공에 괴뢰정권인 "베트남국"을 수립하였다.

이에 맞서 1945년 9월 2일 호찌민(胡志明)은 하노이의 바딘 광장에서 베트남의 독립을 선언하고 "베트남민주공화국"의 수립을 선언하였다.

이때 나라가 북베트남(사회주의, 호찌민이 지배)과 남베트남(프랑스령)으로 쪼개진다.

이렇게 되자 프랑스는 북쪽의 영토도 수복하자면서

1946년 11월 23일 하이퐁(Haiphong) 항구에 함포 사격을 가해 전쟁을 일으켰고(1차 인도차이나 전쟁),

이 전쟁은 1954년 5월 7일 프랑스군의 거점인 디엔비엔푸(Dien Bien Phu)가 함락될 때까지 9년 동안 지속되었다.

그러나 프랑스는 참패했다. 1954년 7월 21일에 '제네바 휴전협정'을 체결하고 프랑스군은 베트남에서 철수했다.

2. 북위 17도선에서 분단

제네바 협정에 따라 베트남은 17도선에서 남북이 분단하고,

이로써 북위 17 도선 이북은 호찌민의 베트남민주공화국이, 이남은 바오 다이 황제의 베트남국이 통치하게 된다.

1955년 남베트남의 총리 응오딘지엠(Ngo Dinh Diem)은 부정 국민투표를 통해 황제 바오 다이를 축출하고 스스로 "베트남공화국"(남베트남)의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프랑스가 철수한 1955년부터 미국은 베트남을 멀리서 후방 지원하는 형태로 남북 베트남 문제에 개입했다.

남베트남을 적화되게 방치하면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같은 편인 자유 진영 국가들이 연쇄적으로 적화될 것이라고 우려했기 때문이다.

3. 베트남 전쟁(1955~1975), 73년 미군철수

베트남전쟁은 초기에는 북베트남의 지원을 받은 게릴라 조직,

즉 남베트남민족해방전선(베트콩 Viet Cong)과 남베트남 정부 사이의 내전(內戰)이라는 성격을 띠었으나,

1964년 8월 7일 미국이 통킹 만 사건을 구실로 북베트남을 폭격한 뒤에 전쟁은 북베트남과의 전면전으로 확대되었다.

미국은 그 뒤 1968년까지 북베트남에 약 1백만 톤에 이르는 폭탄을 퍼부었으며, 약 55만 명에 이르는 지상군을 파병했다.

그리고 동남아시아조약기구(SEATO) 등에 파병을 요청해 한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태국, 필리핀 등의 참전을 이끌어냈다.

베트남 전쟁 동안 남베트남 내부에서는 미국이 강력히 뒷받침하므로 우리가 당연히 이긴다는 방심이 극에 달했고 민족주의를 내세운 종교지도자, 학생들이 연일 반미시위를 했다.

관리들의 부정부패도 심각하여 미국에서 지원한 무기를 북베트남에 팔아먹었다는 황당한 이야기가 있다.

또한 사회 각계각층에 북베트남 간첩이 침투해 있었다.

대통령 비서실장과 법무부 장관, 모범적인 도지사로 평판이 자자했던 녹따오를 비롯한 많은 정치인과 관료들이 공산 프락치였음이 공산화이후 드러났다.

또한 미국 내에서도 미국의 베트남 전쟁을 반대하는 '반전 여론'이 득세한다.

히피와 락 음악으로 대표되는 미국 내의 반전 평화 운동이다.

결국 미군은 1973년 1월 27일, '파리 평화 협정’을 맺고 철수하였다.

4. 미군 철수후 2년만에 사이공의 함락

미군이 철수한 이후에 홀로 된 남베트남은 도저히 북베트남을 이길 수가 없었다.

미군이 같이 싸울 때에도 얻어터지고 있었으므로 미군 철수 이후는 말할 것도 없었다.

북베트남은 1975년 1월 8일 본격적인 남침공세를 감행했고,

불과 55일 만인 1975년 4월 30일 남베트남 정부로부터 무조건 항복을 얻어냈다. 그들은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싸울 의지도 없었다.

남베트남의 마지막 대통령 응우엔 반 티에우는 국가 붕괴 위기를 맞게 되자 엄청난 재보(財寶)를 가지고 대만으로 도망갔다.

이렇게 미군이 철수하는 '파리 평화 협정' 체결로부터 딱 2년 후에 남베트남은 망한 것이고, 전 베트남이 공산화가 된 것이다.

이듬해인 1976년 7월 2일 남북 베트남이 통합해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을 수립되면서 베트남은 하나의 국가로 통일되었다.

5. 보트피플 대량 발생, 좌익들도 처형

이 베트남 전쟁과 이후 공산화 과정에서 베트남을 탈출하려는 남베트남 사람들이 무작정 배를 타고 바다를 표류하는 신세가 되었다.

이들을 보트피플(boat people)이라고 한다.

1973년부터 1988년 사이에 걸쳐 보트피플이 약 1백만 명이 발생하였고,

운좋게 다른 나라로 망명에 성공한 사람들 외에는 해상에서 탈수와 일사병 굶주림 등으로 죽기도 했다.

남베트남이 망한 후 남베트남 군인, 경찰은 수용소에 연행됐다.

공무원, 지도층 인사, 언론인, 정치인들은 인간개조 학습소에 수감됐다. 한번 가면 돌아오지 못하고 이슬로 사라졌다.

뿐만아니라 좌익으로 반정부, 반체제 운동을 벌이던 교수, 종교인, 학생, 민주인사들도 예외 없이 모조리 처형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반정부 활동을 하던 인간들은 사회주의 사회에서도 똑같은 짓을 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