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전집현(자유기고가)

 

서기전 2600년 인도 모헨조다로 유적 핵 방사능

핵실험은 미국이 1032회로 세계에서 가장 많아

핵실험 금지조약에 미국은 가입만 하고 비준 없어

2차대전 독일 핵무기 개발 직전 단계까지 나아가

인도 핵 개발 미소의 암묵적 동의하에서 이루어져

 

▲ 미국은 서기1954. 03. 01. 남태평양 비키니 섬에서 수소폭탄 실험을 하였다. 위력은 일본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터뜨린 원자폭탄의 1천배였다고 한다. 사진: 위키백과
▲ 미국은 서기1954. 03. 01. 남태평양 비키니 섬에서 수소폭탄 실험을 하였다. 위력은 일본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터뜨린 원자폭탄의 1천배였다고 한다. 사진: 위키백과

 

<인류 최초의 핵전쟁, 핵 보유는 강성대국의 지름길? 북한 핵은 우리 민족의 것?>

1. 고대 모헨조다로는 핵전쟁 터?

인도의 모헨조다로 유적(BC 2600~1800 추정) 발굴 당시

고온으로 가열된 유골들이 도로에 그대로 쓰러진 상태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유골에서 히로시마와 비슷한 방사능 수치까지 나왔다.

녹색 유리 지층이 나왔는데, 이는 모래와 벽돌이 초고 열을 순식간에 받은 결과 용해되어 유리 형태로 변한 것이라 한다.

2. 핵실험 한 나라는 8개 국가, 북한은?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1945년부터 2016년까지 8개 국가가 총 2,055번의 핵실험을 했다고 한다.

미국 1,032회, 소련 715번, 프랑스 198번, 영국·중국 45번 등이다.

그리고 인도, 파키스탄, 북한도 핵실험을 했다.

근데 21세기에 핵실험을 한 나라는 북한뿐이다.

3. 경쟁적으로 핵 개발 경쟁을 하다가 일단 멈춤

세계 최초의 핵실험은 미국이 1945년 7월 16일 미국 뉴멕시코주 앨라모고도(Alamogordo) 사막에서 실시한 것이다.

세계 두 번째는 소련으로 미국보다 4년 늦은 1949년 8월 29일 카자흐스탄의 초원에서 핵실험에 성공했다.

세 번째로 영국(1952), 네 번째 프랑스(1960), 다섯 번째 중국(1964), 여섯 번째는 인도(1974)이다.

그리고 파키스탄(1978), 북한(2006) 순이다.

경쟁적으로 핵을 개발하던 국가들은 1996년 유엔 산하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에 서명하고 추가 핵실험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현재 CTBTO에 서명한 나라는 183개국이다.

북한과 인도, 파키스탄은 이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고 미국과 중국은 서명은 했지만, 비준은 하지 않았다.

4. (1945) 미국은 일본에 리틀보이와 팻맨 투하

미국은 맨하턴 계획에 의해 1945년 원폭 2개를 개발했다.

대통령 루스벨트의 애칭인 "리틀보이(Little Boy)"와 영국 총리 처칠을 상징하는 "팻맨(Fat Man)"이었다.

"리틀보이"는 1945년 8월 6일 일본 히로시마에, 팻맨은 8월 9일 나가사키에 투하되었고, 일본은 8월 15일 항복을 선언했다.

독일은 우라늄 핵 연쇄반응 실험을 성공시켰으나,

원폭개발보다 현재 전선에 집중하자는 전략을 폈고 결국 전쟁에 패하였다.

5. (1946) 핵실험은 비키니수영복 입고?

1946.7.1. 미국은 비키니섬에서 핵실험 실시했는데 세계적인 화제거리가 되었다.

4일 뒤 프랑스에서 이색적인 수영복 패션쇼가 있었는데 모델이 손바닥만 한 천으로 국소만 가렸다.

디자이너는 자신의 수영복이 세계적인 화제거리가 될 거라 예감하고 "비키니"로 명명하였다.

6. (1960) 프랑스는 미국의 핵우산 거부하고 핵 개발

프랑스는 1960년 2월 13일 알제리 남부 사하라 사막에서 핵실험을 처음 실행했다.

미국의 핵전략 폐기 촉구에도 드골은 이를 거절하였다.

그는 미국의 핵우산 약속에 의문 제기하며

"미국이 파리를 위해 뉴욕을 포기할 수 있느냐, 핵무기가 없는 나라는 진실로 독립되었다 할 수 없다"고 말했다.

7. (1974) 인도의 핵은 중국 견제용

1949년 중공 수립 후 중국.인도 간 국경분쟁이 빈발하였다.

1959년 티베트 달라이 라마의 인도 망명으로 양국 간 갈등이 증폭되며 1962년 전쟁이 발발하였다.

이때 인도가 대패하면서 핵무기 연구를 시작했다.

당시 소련은 중국 견제를 위해, 미국은 인도와의 관계를 고려, 인도의 핵무기 개발을 암묵적 용인하였다.

인도는 1974년 핵실험 성공으로 세계 6번째 핵보유국이 되었다.

8. 북한 핵은 우리와 공유물?

혹자는 "한반도(북한)는 절대로 핵을 포기하면 안 된다. 지구촌의 절대 경제적, 군사적 강자로 군림할 수 있는 기회다"라고 말한다.

반론으로 "북한의 핵이 남북한 공동의 것이 아니다. '우리 민족끼리'는 구호에 불과하며 핵은 김정은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