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전집현(자유기고가)
바다를 지배하면 세계를 지배하게 돼
15세기 초까지 동양이 바다 지배 세계 패권 장악
명나라 정화함대는 아프리카까지 원정 나가
3백여 척에 3만 명 병력으로 30여 개국 방문
명 영락제 정권찬탈 무마 및 천명 받은 것 증명용
▲ 명나라 영락제 때 정화함대가 원정한 나라와 항로(편집인 주). 자료: 전집현
<명나라는 왜 정화의 원정 이후 바다를 포기했나?>
"바다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월터 롤리 경, 1552~1618)
1405년 7월 11일 명나라의 정화(鄭和, 1371~1434)가 초대형의 함대를 이끌고 원정에 나섰다.
중국은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1592)하기 무려 90년 앞서 대항해를 했다며 자랑을 하고 있다.
함대 이름에 정화를 붙이는 것은 물론, 중국 패권주의(一帶一路)를 정당화하는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서구보다 일찍, 그리고 대규모 선단이 동원되어 세계 곳곳을 누볐음에도 중국은 바다를 지배하여 해양패권을 차지하는 계기로 활용하지 못했다.
중국이라는 거대한 해상 세력이 스스로 무대를 버리고 떠난 뒤 무섭게 달려드는 유럽의 후발 세력이 그 빈자리를 장악해 들어갔다.
조만간 유럽이 대양의 지배자가 됐다. 이것이 근대 세계사의 가장 중요한 전환점이 된다.
1. 명제국, 서구보다 앞서 해양세력이 되다.
인류역사상 누가 세계사의 패권을 차지하느냐는 누가 바다를 지배하느냐에 따라 결정되었다.
근대 초에 이뤄진 대양의 지배가 그다음 시기인 제국주의 시대에 대륙의 지배로 이어졌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서구가 이 싸움에서 승리해 현대사의 패자(覇者)로 등극한 것이다.
그러나 서구보다 먼저 최고의 해상 세력이 된 국가는 명 제국이었다.
2. 강력한 중국의 해양력, 정화의 남해 원정
중국의 해양력이 얼마나 강력했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가 정화(鄭和)의 남해 원정이다.
정화는 중앙아시아의 이슬람교 집안 출신으로 색목인이며, 어린 나이에 거세되어 환관이 되었다.
명의 3대 황제 영락제(永樂帝)는 그에게 거대한 함대를 구성해 인도양 세계를 탐사하도록 명령했다.
1405년부터 1433년까지 7차례에 걸쳐 행해진 이 원정은 세계 역사상 초유의 사건이었다.
정화의 선단은 60여 척의 초대형 선박을 포함, 모두 300척이 넘는 배에 3만 명의 장병이 동원된 가공할 수준이었다. 항해 거리만 185,000km에 이른다
* 콜럼버스가 아메리카를 발견했을 때 선박 3척, 선원 90여 명
정화 선단은 30년에 걸쳐 인도양 세계 곳곳을 누비고 다니며 30여 개국을 방문했다.
그들이 다녀간 곳은 동남아시아 각지와 인도, 실론, 아라비아, 아프리카 동해안 지역에 걸쳐 있다.
15세기 초에 세계의 바다를 지배할 가장 강력한 우승 후보는 단연 중국이었다.
3. 그러나 중국이 바다를 지배하지는 않았다.
정화 선단이 인도양 세계 곳곳을 누볐지만, 경제적으로는 별 소득이 없는 원정이었다.
식민지를 새로 건설한 것도 아니고 재화를 얻어온 것도 아니었다.
정화는 희귀동물인 기린을 운반하거나 인도양 주변 지역에서 사절을 실어나르는 역할을 했다.
그토록 엄청난 자원을 동원한 국책 프로젝트치고는 너무 허망한 성과밖에 거두지 못하고 중국의 해외 원정은 막을 내렸다.
북원(北元)과의 전쟁으로 전비 소모가 컸고, 원정을 보내는데 엄청난 비용이 들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1433년 마지막 원정 이후 명의 국가 정책이 극적으로 바뀌어 바다로 나가는 것을 철저히 금지하는 해금(海禁) 정책을 폈다.
세계의 바다를 지배할 능력을 보유한 우승 후보가 스스로 세계사의 무대에서 퇴장해 버린 셈이다.
4. 영락제가 정화에게 왜 이 원정을 시켰을까?
동남아시아 등지의 조공무역국을 늘리기 위한 목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근본적으론 영락제가 천명(天命)을 받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그는 2대 황제 건문제를 무력으로 몰아내고 제위를 빼앗았다. 그래서 유학자인 관료로부터 천명을 받은 황제로 인정받지 못했다.
그래서 원정을 통해 사절들이 일부러 먼 땅에서 명나라까지 조공을 오게 해서 황제의 덕이 만천하에 알려져 있다고 선전한 것이다.
그리고 정화가 싣고 온 아프리카 기린(Giraffe)이 난징에서 베이징까지 화려한 행렬과 함께 운반되었는데, 당시 기린(麒麟)은 중국신화에 등장하는 영물로 왕이 천하를 덕으로 다스릴 때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