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전집현(자유기고가)

 

미제가 만든 원주민 보호구역은 원주민 포로수용소

원주민 말살 정책에 따라 백인 이주, 원주민 강제 축출

앤드루 잭슨 대통령, 대법원 판결도 무시 원주민 축출

체로키 원주민 끝까지 항쟁, 노래를 통해 부활 의지 다져

백인들의 서부개척 역사는 개척 아닌 원주민 말살의 역사

▲ 미제 백인의 원주민 축출 정책으로 수 만년 동안 살던 터전을 등지고 가제 이주당하는 미주 원주민들. 원주민 땅을 강탈한 미제 백인들은 미주대륙에서 수만년동안 자연과 하나 되어 지상낙원을 일구며 살아가던 원주민을 시대를 달리하며 학살과 약탈 및 말살 하였다(편집인 주).
▲ 미제 백인의 원주민 축출 정책으로 수 만년 동안 살던 터전을 등지고 가제 이주당하는 미주 원주민들. 원주민 땅을 강탈한 미제 백인들은 미주대륙에서 수만년동안 자연과 하나 되어 지상낙원을 일구며 살아가던 원주민을 시대를 달리하며 학살과 약탈 및 말살 하였다(편집인 주).

 

<체로키족: 타향으로 눈물을 흘리며 강제로 이주당했지만, 자랑스럽게 살고 자랑스럽게 죽는다>

레이더스 밴드(Raiders)가 1971년에 ‘인디언 레저베이션(Indian Reservation)’ 노래를 발표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음악다방 전성시대인 1970~1980년대 크게 유행했다.

대대로 살던 삶의 터전에서 쫓겨나 인디언 보호구역에 갇혀 살아가야 하는 체로키 부족의 비극적 현실을 노래한 것이다.

이 노래에 따르면 체로키 부족은 자랑스럽게 살고 자랑스럽게 죽는다.

그리고 언젠가는 체로키 부족은 부활한다고 한다.

그들은 주로 연예인으로 부활했다.

조니 뎁, 브래드 피트, 엘비스 프레슬리, 지미 헨드릭스, 척 노리스, 애슐린 브룩, 안드레 이디어, 버트 레이놀즈, 셰어 등이 있다.

1. 체로키족의 눈물의 길(Trail of Tears)

체로키(Cherokee) 부족은 북아메리카의 원조 민족이면서 유일하게 고유의 문자를 가진 가장 문명화된 부족이었다.

그들은 테네시 동부지역과 노스 캐롤라이나/사우스 캐롤라이나 서부지역에서 살았다.

1700년대, 체로키 부족은 자신의 영토를 지키려 백인들과 끝없는 전투를 치렀다.

미국독립전쟁에서 체로키 부족은 영국편을 들면서 미국의 눈엣가시가 된다.

18세기 말 체로키는 미국과 휴전 조약을 맺고 문명화의 길을 걷기 시작해 평화가 오는 듯했다.

근데 1828년 체로키족 영토 주변에 금이 발견되면서 미국의 첫 번째 골드 러시(Georgia Gold Rush)가 시작되고 백인들이 몰려 들어왔다

그러자 1830년에 7대 대통령 앤드류 잭슨(Andrew Jackson)은 인디언 철거법(Indian Removal Act of 1830)을 통과시켜

인디언들을 미시시피 강 서쪽, 오클라호마로 추방시키고자 했다.

1831년 제일 먼저 촉토 인디언(Choctaw)들이 강제 추방되었고, 이는 다른 인디언들을 추방할 수 있는 모델이 되었다.

세미뇰( Seminoles)는 1832~1833년, 머스코지(Muscogee)는 1834년에, 칙쇼(Chickasaw)는 1837년에 추방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체로키(Cherokee)는 1838년까지 끝까지 거부하며 싸우다가 맨 마지막에 쫓겨났다.

그 와중에 체로키 인디언들 17,000명이 서명을 하고 법에 호소하여 대법원에서 자신들의 땅에서 살아도 된다는 판결을 받았으나

앤드류 잭슨 대통령은 그 판결을 무시하고 강제 추방을 강행하였다. 이는 미국 역사상 대법원의 판결을 대통령이 무시한 유일한 사례라고 한다.

1만7000여 명의 체로키 인디언과 그들이 소유하고 있던 약 2000명의 노예는

살던 집에서 미군들에 의해 끌려나와 위협을 당하며 1839년 3월26일 목적지인 오클라호마에 도착했다.

4개월에 걸쳐 대략 1200마일 거리를 대부분 걸어서 이동하면서 4000여 명이 병으로 죽거나 굶주림으로 쓰러졌다.

체로키족의 강제 이주를 '눈물의 길(Trail of Tears)'이라고 부르는데 그들의 고난은 실로 끔찍하고 지독했다. 이후에도 30여 인디언 부족들이 더 이주당했다.

2. 서부개척의 역사는 원주민 말살의 역사다

1866년 연방정부가 인디언 준주의 명칭을 정할 때 제일 먼저 이곳에 이주해온 촉토족의 추장 앨런 라이트의 말을 받아들여 오클라호마로 정해졌다.

오클라호마는 촉토족 언어로 붉은 사람들을 의미한다.

미국정부는 오클라호마를 인디언들만이 거주하는 주로 만들려고 했다.

그러나 1800년대 말에 백인들이 몰려들자 미국정부는 1887년 도스법을 통과시켜 인디언 땅을 강제적으로 줄여서 철도회사와 백인들에게 불하했다.

5년을 경작하면 무상으로 불하되는 조건이었다. 100만명의 사람들이 몰려 들면서 먼저 차지하는 사람이 임자 - Sooner, 갑자기 개발 boom이 일면서 Boomer 는 모두 오클라호마 백인들을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

▲ 미주 원주민 중 대표 족인 체로키 원주민의 엄마와 아들. 이들은 미제 백인의 학살에도 끝까지 살아남아 자신들의 터전을 회복하려는 의지를 다지고 있다(편집인 주).
▲ 미주 원주민 중 대표 족인 체로키 원주민의 엄마와 아들. 이들은 미제 백인의 학살에도 끝까지 살아남아 자신들의 터전을 회복하려는 의지를 다지고 있다(편집인 주).

 

3. "체로키 피플~~~♬은 노래로 되살아났다

<Indian Reservation : 인디언 레저베이션>

"They took the whole Cherokee nation

put us on this reservation

그들은 체로키 땅 전부를 가져갔네

우리를 이 보호구역에 몰아넣고

Took away our ways of life

The tomahawk and the bow and knife

우리의 생활방식,

돌도끼와 활과 칼마저 가져가 버렸네

Took away our native tongue

taught their English to our young

우리의 모국어도 빼앗고

우리 아이들에게 영어를 가르쳤네

And all the beads we made by hand

are nowadays made in Japan

그리고 우리가 손으로 꿴 구슬들은

지금은 일본에서 만들어 내고 있다네

Cherokee people, Cherokee tribe

so proud to live, so proud to die

체로키 사람들, 체로키 부족

자랑스럽게 살고, 자랑스럽게 죽네"

They took the whole Indian nation

locked us on this reservation

그들은 인디안 부족 전부를 점령했네

우리를 이 보호구역에 가둬놓았네

Though I wear a shirt and tie

I'm still part redman deep inside

내가 셔츠와 타이를 입기는 하지만

나는 아직도 가슴 깊은 곳에선 인디언이라네

Cherokee people, Cherokee tribe

so proud to live, so proud to die

체로키 사람들, 체로키 부족

자랑스럽게 살고 자랑스럽게 죽네

And someday when they learn

Cherokee Indian will return,

will return, will return

그러나 언젠가는 그들도 알게 되리니

체로키 부족은 부활하리라,

부활하리라, 부활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