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전체 메뉴
전체 메뉴
역사
태고사
상고사
고대사
고려사
조선사
근현대사
독립사
북한역사
세계사
정치
사회
문화
종교
국제
평론
비평
시론
정보
역사
태고사
상고사
고대사
고려사
조선사
근현대사
독립사
북한역사
세계사
정치
사회
문화
종교
국제
평론
비평
시론
정보
전체 기사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역사
정치
사회
문화
종교
국제
평론
정보
삼태극 소개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김정락' 작성자 검색 결과
전체
다음
이전
태고사
한반도, 천손신화와 난생신화의 고향
글: 김정락(미학자) 난생설화의 인물은 초월적인 존재감을 수식해 천생난적 설화와 인생난적 설화로 나누어져 김수로와 박혁거세는 하늘에서 내려온 알에서, 고구려 시조 동명왕은 유화가 난 알에서 나와 이는 왕권신수설, 절대성 강화하는 신화적 장치 단군신화는 모계사회에서 남성사회로 이동 의미 우리의 역사에서 최초의 왕들
김정락
2024.07.12 23:44
조선사
상평통보와 첨성대 같은 철학 공유
글: 김정락(미학자) 엽전이라 부르는 상평통보 인조 때 주조 조선에서 화폐, 통화 기능은 3%선 그쳐 상평, 상시평준으로 물가 안정 염원 담겨 상평통보 둥근 원에 안에 네모, 천지 상징 첨성대도 둥근 몸체에 사각형 머리로 같아 우리가 엽전이라 부르는 대표적인 조선시대 동전이 ‘상평통보(常平通寶)’다. 인조 때,
김정락
2024.05.21 00:26
조선사
김홍도가 ‘서당’풍속화 속에 숨겨 둔 것
글: 김정락(미학자, 서울대 미학과) ‘서당’ 풍속화를 김홍도는 다양한 각도에서 그려 실내는 없지만 인물들을 통해 실내를 연상하게 해 훈장은 가장 멀리있음에도 가장 크게 그려 비논리 가장 앞에 있는 왜소한 학동을 가장 작게 그려 왜소한 이 학동이 시선을 끌고 공간을 왜곡해 놔 아래의 그림은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
김정락
2024.03.31 00:16
조선사
‘가노라 삼각산아 다시 보자 한강수야’
글:김정락(미학자, 서울대 서양화) 퇴계 학풍 계승한 근본주의 성리학자, 김상헌 왕이 아닌 조선에 충성한 것, 삶 곳곳에 보여 청 태종에게 보낼 왕 친서 찢어버리는 결기도 삼전도 치욕에 목매달아 자결 시도했으나 실패 청의 회유, 협박에도 의지 꿋꿋, 청 관료도 탄복 ‘맑은 그늘’이란 뜻의 호를 썼던 김상헌은 선조
김정락
2024.03.13 21:40
문화
수덕여관
글: 김정락(미학자) 충남 예산군 덕숭산 자락에는 수덕사가 있다. 백제 위덕왕 때 창건한 절이고, 국보 49호에 등재된 오래된 목조건축인 대웅전이 유명하다. 미술 좀 아는 사람들은 수덕사보다는 일주문 지나 왼편에 자리 잡은 수덕여관을 찾는다. 절간 옆에 여관은 시주를 위한 먼 길을 온 사람들이 잠시 묵는 곳이었다.
김정락
2023.12.31 11:49
고대사
고구려 무덤은 우주 중심을 나타낸 것
글: 김정락(미학자, 서울대 미술학 전공) 고구려 벽화 사신도는 우주 별들을 형상화 한 것 남주작, 북현무, 서백호, 동청룡, 중 황룡의 오방 우주를 고정된 물질세계 넘어 섭리, 기 운동으로 고대 한국인 무덤은 우주 중심을 나타내는 자미원 고고학이나 미술사학의 발견들은 주로 무덤에서 이루어졌다. 무덤 속에서 발굴된
김정락
2023.12.02 01:11
조선사
정도전의 서울, 김포로 괴물 되려나
글: 김정락(미학자, 서울대 서양화 전공) 조선의 한양은 성리학적 도시계획에 따라 건설 삼봉 정도전, 서울에 행정계획, 5백년 조선 새겨 전조후시, 좌우묘사 기본적인 배치로 도시 완성 조선, 명 제후국이라 제후칠궤로 7대 수레 로폭 김포 서울시 편입시도, 표 구걸, 서울 괴물만들기 흔히 도시계획이나 도시공학 따
김정락
2023.11.14 21:03
1
내용
내용